본문 바로가기

반도체2

1.2 격자상수와 밀러지수(Miller Index) 안녕하세요, 노력주의 입니다. 오늘은 전공 관련 포스팅으로 찾아뵙습니다.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격자상수, 그리고 밀러 지수(Miller Index or Miller Indices)에 관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 격자상수(Lattice constant) 설명에 앞서 기호정리를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과학자들은 격자상수를 표현하기를 Å 로 약속했습니다. 즉 대문자 A에 자그만 동그라미를 덧붙인 기호이지요. 다만 이 글에서는 포스팅의 편의를 위해 그냥 대문자 A로 하겠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격자상수란 무엇인가. 앞서 결정 구조에 대해서 배웠을 것입니다. 가장 간단한 단위인 Simple Cubic, 즉 정방입자에 대해서 고려해봅시다. 정육면체의 구조와 그 꼭지점 8군데에 원자들이 각각 배열되어 있는 형태죠... 2018. 11. 27.
1.1 고체 결정 구조, 브라베이 격자(Bravais Lattices) 안녕하세요, 노력주의 입니다. 오늘은 전공 관련 포스팅입니다. 오늘 다루게 될 내용은 고체전자물리와 관련한 지식입니다. 보통 전자전기과에 진학하시는 분들이라면 금방 접하게 될 내용인데요. 바로 브라베이 격자입니다. 고체전자물리에서도 기본적인 내용에 해당하는 만큼 간결하게, 차근차근 짚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단위 셀(Unit Cell)과 격자(Lattice)에 대해서 설명해야될 것 같네요. 단위 셀이란, 어떤 결정 격자(Crystal Lattice)의 특성을 결정짓게 해주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 그룹을 의미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단위 셀의 상태가 어떤가에 따라서 그 물체의 특성이 결정된다는 것이죠. 반면 격자(Lattice)는 원자의 배열 형태입니다. 그림으로 보여드리자면 다음과 같죠. 왼쪽은 Latt.. 2018. 11. 23.